본문 바로가기
Node js/Nest js 강의 내용

0. [과정을 들어가면서] 과정소개

by Bill Lab 2024. 12. 4.
728x90

0. 강의제작 배경 및 학습목표

     - 국내에는 Nest강의가 Spring 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음.

     - 많은 주니어 개발자들이 CRUD 등의 간단한 기능은 잘사용하는것으로 보이나, DB lock, redis, Kafka 와 연계하는 응용부분은 추가설명이 필요했음

     - Nest 개발자 중에 TypeORM 기반이 아닌 실무에 적합한 Prisma 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한 개발자들이 다수 보였음

강의 이후 실무에 최대한 빠른 적응! or 레벨업!

     

 

1. Nest js 개발 관련 기본사항

     1) Nest 장점

     2) ERD 설계

     3) 개발 architecture

     4) OOP(Object-Oriented Programming) & FP(Functional Programming)

 

 

2. 커머스 중 주요 기능 개발(B/E)

    1) 상품(product)       

         - 사용자가 상품조회(상품정보, 가격정보, 재고수량)

    2) 장바구니(cart)

         - 상품을 선택하여 장바구니로 저장

         - 장바구니 조회 

    3) 주문서(order)

          - 장바구니의 상품을 주문 하기위한 주문서

    4) 주문서 상세(orderDetail)

          - 주문서에 어떤 상품이 담겼는지 상품 detail 정보

           (주문서가 총 정보가 기입되어있는 Header의 역할이고 주문서 상세는 Body의 역할)

 

   (배울때에는 노가다성 코드를 최소화 하고 모르는 것에 집중하자!)

 

 

3. Prisma 적용

    orm 관리를 nest 에서 기본학습용으로 제공해주는 typeORM이 아닌 실무레벨에서 사용이가능한

    Prisma 기반으로 구성

 

 

4. Docker 기반 redis, kafka 연동개발

     1) Docker 에 대한 이해 

     2) RDBMS 기반으로 한 기존 로직을 Redis 로 리펙토링 (장바구니)

     3) Kafka를 이용하여, Event 기반으로 로직 분리 (주문 시 장바구니 모듈과 주문 모듈에서 각각의 로직을 처리할 수 있도록 분리)

 

 

5. 강의 대상

   1) 프론트엔드 개발자였는데 백엔드로 전향을 희망하는 개발자

   2) 커머스에 막 입문했거나, 아직 입문 전인데, Nest 기반으로 이커머스 서비스를 개발하려고 하는 개발자

   3) Nest 관련 실무형 개발을 하고 싶은데, 현업에서 답답함을 느끼고 있는 개발자

 

 

6. 수강생에게 하고 싶은 말

"업계에서 노드 Nest를 사용하는 회사의 비중이 점점 줄어드는 이유 중 가장 큰 요소 중 하나는 node nest 개발을 잘하는 개발자를 구하기가 어려웠던 점도 있었습니다.(물론 22년 말부터 급격히 줄어든 VC 투자 규모및 금리상승으로 인해 많은 개발회사들이 채용비중을 줄인것도 원인중 하나겠죠)
채용하는 입장에서 개발자를 구하기 어려웠던 이유는 서비스에 바로 투입시킬 준비가 되어있는 개발자를 찾기가 어려워서 였고, 이거에 대한 근본적 원인을 파보면, 국내 기준 Java Spring 에 비해 질적인 강의와 기술 블로그들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Spring 만 보더라도 JPA 하나를 다루는 강의와 블로그만 해도 셀 수 없을 수준입니다.)
이 강의를 통해 보다 수준높은 Node Nest 개발자로 성장하길 기원합니다."
728x90